본문 바로가기
세상사는 지혜

“아까시아, 맛있는 제철 나물,” (제 28 화)

by 바람과비다 2023. 5. 26.
728x90
반응형

                 아까시아

아카시아꽃 케이크도 있다네요 !!

 

 

우리 강산에는 철 따라 먹을 수 있는 나물들이 폭넓게 퍼져 있어 사람의 노력에 따라서는 먹을 것이 널려있는 그야말로 축복받은 강산이라고 하겠습니다. 특히 봄철에는 한겨울에도 얼어 죽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력 있는 각종 나물들이 우리의 산야를 뒤덮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도 봄철에 먹을 수 있는 산나물의 대표적인 것들을 소개해 드고 하는데 그 첫 번째로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고 채취가 자유로우며 또 향수를 느끼게 하면서도 우리가 먹어서 신체에 유익한 우리의 쑥을비롯해서 27가지의 나물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이번에는 좀 특이하면서도 식용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아카시에 대하여 소개해 드라려 함니다.

 

1.아카시아(Dark Catechu, Black locust, Whitethorn)

1) 아카시아는 오스트레일리아를 중심으로 열대와 온대 지역에 약 50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명칭인 아카시아라는 말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를 가리키고 아카시아 속의 식물로서 잎이 매우 작으며, 잎자루가 편평하여 잎처럼 된 것도 있다. 턱잎은 가시 모양이며 꽃은 황색 또는 흰색이고 머리모양꽃차례 또는 꽃의 배열에 있어 작고 촘촘하게 달리고 있다.

꽃잎은 5개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편평하고 잘록하거나 원통 모양이다.

 

2) 조선시대 이전부터 약재로 사용한 아선약(阿仙藥)은 만성술사와 이질에 이용하고, 카테킨, 타닌 성분이 있어서 수렴 약으로 입안의 청량제로 사용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과거부터 유명했던 소화제 성분 중에도 아선약이 함유되어 있었다.

아카시아가 우리나라에서는 식용으로는 잘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오히려 외국에서는 꽃을 이용한 음식들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2.아카시아로 맛있는 음식 만들기

1))루마니아에서 꽃을 달콤하고 향기로운 잼을 만드는 데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꽃을 손으로 수확하고, 씨앗을 제거하고, 꽃잎을 설탕으로 특정 비율로 끓여서, 가볍고 달콤하고 섬세한 향수 잼을 만들었다

 

2)꽃튀김

싱싱한 아카시아 꽃송이를 골라 준비한다

시든 꽃들은 떼어낸다. 전분을 꽃에 뿌린후

다음 럼이나 코냑을 뿌려 30분 정도 재운다.

튀김옷 반죽을 만들고 튀김용 기름을 데운다. 아카시아 꽃송이다발을 그대로 재빨리 튀김 반죽에 담가 묻힌 뒤 뜨거운 기름에 조금씩 넣고 몇 분간 튀긴다. 종이행주에 놓고 기름을 제거한 다음 설탕을 뿌려 먹는다.

 

3)꽃부각

깨끗하고 생생한 꽃을 추려 반죽옷을 입힌후에 기름에 튀겨내는 방식인데 우리나라 호남지역 일부에서 행해 지고 있다고 한다.

 

4)아카시아 꽃 샐러드

상큼하고 향긋한 아카시아 꽃을 샐러드와 함께 먹으면 맛이 더욱 좋아집니다.

 

5)아카시아 꽃 케이크:

아카시아 꽃을 가미한 케이크로, 꽃맛과 함께 달콤한 맛이 일품입니다.

 

6)아카시 꽃 차

아카시아 꽃을 건조시켜 차로 끓여 마시는 것도 좋습니다. 향긋한 아카시아 꽃으로 만든 차는 더운 여름철에 상쾌한 느낌을 줍니다.

 

7)아카시아 시렆 만드는법

(1)카시아꽃 시럽을 만드는 방법은 대체로 아카시아꽃을 물에 담가서 끓여 시럽을 만드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2)아카시아꽃을 깨끗이 씻은 후 물에 담가서 끓입니다.

(3)설탕을 넣어서 끓인 후 걸러내면 아카시아꽃 시럽이 완성됩니다1.

 

8)아카시아꽃 차 만드는 법은

(1) 넓은 채반에 아카시아꽃 봉우리를 펼쳐 수분을 말린 후

(2) 넓은 팬에 종이 포일을 깔고 약불에서 꽃봉오리를 데웁니다.

(3) 약한 불에서 데웠다 식히기를 반복하며 총 일곱 번 데워서 수분을 날려 줍니다.

(4) 손으로 만지면 파삭파삭할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3. 외국에서는 우리의 아카시아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

영어 한마디:아카시아는 꽃이라기 보다 식

아카시아가 원래 외래종 이는지 보니 외국에서 이것을 보는 관점들이 아주 상세하고 다양합니다. 그중에서 핵심만 추려서 소개합니다.

 

1) 아카시아는

Robinia pseudoacacia, commonly known in its native territory as black locust, is a medium-sized hardwood deciduous tree, belonging to the tribe Robinieae of the legume family Fabaceae.

현지에서는 흔히 검은 메뚜기(아카시아)로 알려진 호비니아 유사 아카시아는 중간 크기의 단단한 나무로, 콩과 파비아과의 호비니에에에 속한다.

It is endemic to a few small areas of the United States, but it has been widely planted and naturalized elsewhere in temperate North America, Europe, Southern Africa and Asia and is considered an invasive species in some areas.

미국의 몇몇 작은 지역이 고유 토착지 이지만 북아메리카, 유럽, 남아프리카, 아시아의 온대 지역에 널리 심어지고 토착화 되어 일부 다른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2) 아카시아 이름의 유래

Another common name is false acacia,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specific name (pseudo [Greek ψευδο-] meaning fake or false and acacia referring to the genus of plants with the same name.

이것의 명칭인 가짜 아카시아라는 말은 특정한 이름을 문자 그대로 번역한 것인데 (가짜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ψεοδυ-]οδmeaning 아카시). 이는 같은 이름을 가진 식물의 속을 가리키는 아카시이다.

 

3) 아카시아의 독성

The bark, leaves, and wood are toxic to both humans and livestock.Important constituents of the plant are the toxalbumin robin,which loses its toxicity when heated, and robinin, a nontoxic glucoside.

이 나무껍질, , 그리고 나무는 인간과 가축 모두에게 독성이 있다.

식물의 중요한 성분은 가열하면 독성을 잃는 알부민 리본과 독성이 없는 글루코사이드인 리본을 함유하고 있다.

Horses that consume the plant show signs of anorexia, depression, incontinence, colic, weakness, and cardiac

arrhythmia. Symptoms usually occur about 1 hour following consumption, and immediate veterinary attention is required.

그 식물을 먹은 말들은 거식증, 우울증, 요실금, 결장, 허약, 그리고 심장 부정맥의 징후를 보이니까 보통 섭취 후 약 1시간 후에 증상이 나타나므로 즉각적인 수의사의 주의가 필요하다.

 

4) 아카시아의 일반성

Black locust has been spread and used as a plant for erosion control as it is fast growing and generally a tough tree.

The wood, considered the most durable wood in North America,has been very desirable and motivated people to move the tree to areas where it is not native so the wood can be farmed and used.

아까시나무는 빠르게 자라고 일반적으로 단단한 재질의 나무이기 때문에 토양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식물로 널리 이용됐다.북미에서 가장 내구성이 강한 나무로 여겨져 사람들이 이 나무를 가까운 곳에서 재배하고 이용하게 되었다.

 

4. 아카시아의 효능

In traditional medicine of India, different parts of R.pseudoacacia are used as laxative, antispasmodic, and diuretic.

인도의 전통적인 의학에서, R. 유사 아카시아의 다른 부분은 설사약, 항경련제, 그리고 이뇨제로 사용되었다.

 

 

               The fear of the LORD is the beginning of knowledge, but fools despise wisdom and discipline.

 

                                                                             소나무와 장미(동네뒷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