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사는 지혜

“달개비”,제철 나물” (제 50 화)

by 바람과비다 2023. 8. 11.
728x90
반응형

             달개비

 

우리의 입맛을 볶돋아주는 나물의 대표적인 것들을 소개해 드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소개해 드린 내용들을 요약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1~10) , 미나리, 달래, 냉이, 도라지, 더덕, 곰취, 씀바귀, 고들빼기, 두릅

2. (11~20) 산마늘, 고사리, 고비, 원추리, 곰이더래, 참나물, 잔 대, 쑥부쟁이, 떡쑥, 머위.

3. (21~30) 엉겅퀴, 우산나물, 민들레, 돼지감자, 질경이, 구기 자, , 아카시아, 쇠비름, 맹아주.

4. (31~40) 죽순, 금낭화, 피마자, , 쇠뜨기, , 수영, 갈퀴나물, 개박하, 모시대.

5.이어서 뻐꾹채, 비름, 둥굴레, 삽주, 제비꽃, 달맞이꽃, 비름나물 수송나물, 번행초를 소개해 드렸으며 드디어 이번에는      50번째로 달개비라는 나물?, 잡풀?, 약초? 흔한 우리의 식물입니다.

 

1. 달개비, 닭의장풀(Common Dayflower)이란?

원래의 이름은 닭의장풀이지만 달개비( 닭의 밑씻개, 닭 개비, 닭의 꼬꼬)라고도 불리는데 이것은 집주변, 길가 등의 어디서나 흔하게 볼 수 있다. 이것은 오래전부터 해열, 감기, 설사, 편도선염 등의 민간요법 악용으로도 쓰여왔고 뿐만 아니라 꽃은(파란 하늘색의 파랑) 그림의 염료로도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식용으로는 줄기를 채취하여 살짝 데친 후의 요리에 이용하였다.

어린 시절 달개비꽃과 줄기를 이용하여 솎음 반지 만들기도 하였다.

줄기 밑 부분은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땅을 기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리고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 윗부분은 곧게 서고 높이가 1550cm까지 자란다. 꽃은 78월에 하늘색으로 아주 귀여운 모습으로 피어난다.

한방에서는 잎을 안 척 초(鴨跖草)라는 약재로 이용하고 있으며 열을 내리고 이뇨 작용에 그리고 당뇨에도 쓰인다.

생잎의 즙을 화상에 발라 치료제로 사용하며 한국, 일본, 중국,사할린,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2. 달개비로 맛있는 요리 만들기

1) 달개비 나물, 무침:

달개비는 봄에 어린잎을 식용으로 쓰는데, 삶아서 양념을 곁들여 무침으로 만들면 맛있는 반찬이 됩니다. 달개비는 꽃이 하늘색과 흰색으로 이쁘게 피는데, 꽃도 함께 넣어주면 색깔도 예쁘고 영양도 좋습니다.

양념은 다진 마늘, 고춧가루, 간장, 설탕, 참기름 등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2) 달개미국:

소고기와 함께 끓여서 맛있는 박 나물국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달개비는 투명하게 익으면서 육수에 고소함과 식감을 더해줍니다. 간장, 다진 마늘, 소금 등으로 간을 하고, 대파를 넣어 줍니다.

 

3) 달개비 들깻가루 볶음:

달개비는 들깻가루와 잘 어울리는데, 볶음으로 만들어도 맛있습니다. 참기름에 얇게 썬 달개비를 볶다가 육수나 물을 넣고 끓입니다. 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하고, 들깻가루를 넣어 볶아줍니다. 박이 투명하게 익으면 쪽파를 넣고 완성하면 됩니다.

 

3. 달개비를 외국에서는 어떻게 보고 있을까?

영어 한마디:

연일 계속되는 폭염과 예상되는 태풍은 자연이 주는 경고이다.

The continuous heat wave and the expected typhoon are warnings given by nature.

 

1) 데이 플라워 가족의 초본 일년생 식물로서 꽃이 하루 동안 만 지속되기 때문에 그 이름이 붙었다. 동아시아의 많은 지역과 동남아시아 북부 지역이 원산지이다.

중국에서는 鸭跖草(번채) 오리발 허브로 불리며 일본에서는 츠유쿠사(露草, tsuyukusa)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이슬 허브를 의미한다. 또한 중부 및 남동부 유럽 일부 지역과 북미 동부의 많은 지역에 도입되어 유해 잡초로 퍼져있다. 습한 토양에서 흔히 볼 수 있고 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나오며 두 개의 비교적 큰 파란색 꽃잎과 하나의 매우 작은 흰색 꽃잎으로 독특한 형상이다.

 

2) 중국에서는 열성, 해열제, 항염 및 이뇨 효과가 있는 약초로 사용 되며 또한 인후통과 편도선염 치료에도 사용된다. 최근 약리학적 조사에 따르면 아시아 대 이플라워에는 최소 16가지 활성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고 합니다. 이들 중 하나인 p-하이드록시 신남산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인 D-만니톨은 진해 효과가 있다고 한다. 중국과 인도에서는 식물이 채소 및 사료 작물로도 사용되고 있다.

 

3) 일본의 보시 가미 또는 아이 가미(藍紙)라는 종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파란색 액상은 달개비의 재배된 꽃잎에서 추출된 염료이다. 이것은 18세기와 19세기 일본의 목판화, 특히 초기 우키요에 시대에 착색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착색제는 Torii Kiyonaga와 같은 몇몇 유명한 우키요에 예술가들이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달개비 성분

달개비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는데 사료(provender)라는 의미는 가축을 먹이기 위해 특별히 사용되는 농산물이며 토끼, , , , 돼지. "사료"는 특히 동물이 스스로 먹이를 찾는 음식이 아니라 동물에게 주는 음식(잘라서 운반하는 식물 포함)을 말한다. 사료에는 건초, , 사일리지, 압축 및 펠릿 사료, 기름 및 혼합 사료, 발아 곡물 및 콩류가 포함된다. 대부분의 동물 사료는 식물에서 추출하지만, 일부 제조업체는 동물성 가공 사료에 성분을 첨가하기도 한다. 달개비도 가축의 사료 중 하나로 쓰인다.

 

I walk in the way of righteousness, along the paths of justice,

나는 정의로운 길로 행하며 공의로운 길 가운데로 다니나니

 

 

오랜만의 사진 입니다. 텃밭에서 쉬고 있는데 나비가

내 무릎에 --- 동영상도 있는데 요청하시면 기꺼이 보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