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위
"최근에 머위의 영양분이 화재 라는데 --"
뿌리, 줄기. 잎 몽땅 먹을 수 있는 귀한 나물, 머위의 약성은 외국에서 먼저 알고 있다.
우리 강산에는 철 따라 먹을 수 있는 나물들이 폭넓게 퍼져 있어 사람의 노력에 따라서는 먹을 것이 널려있는 그야말로 축복받은 강산이라고 하겠습니다. 특히 봄철에는 한겨울에도 얼어 죽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력 있는 각종 나물이 우리의 산야를 뒤덮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봄과 여름에 걸쳐 먹을 수 있는 산나물의 대표적인 것들을 소개해 그리고 있으며 그 첫 번째로 쑥을 소개하였고 두 번째로 미나리를 그리고 달래에 이어서 냉이와 도라지, 더덕, 두릅, 산마늘, 고사리, 고비, 원추리, 곤드레, 참나물, 잔대, 쑥부쟁이, 떡쑥 등 19가지의 소중한 나물들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이번에는 20번째로 머위라는 나물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머위란? (butterbur)
1) 우리나라 전역의 산, 뚝, 계곡 등 습기가 있는 곳에는 머위가 무리를 지어 자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텃밭과 울타리 주변에 심어 두기도 하며 밭작물로 재배하기도 한다. 머위는 지역에 따라 마구 또는 머의 라고도 부르며 한의학에서는 봉두채(蜂斗菜)라고 한다.
2) 암수가 딴 그루로 자라며 이른 봄 2월 말~3월 초가 되면 땅속에서 줄기가 뻗어 오르면서 꽃을 피운다. 수그루의 꽃은 노란색이며 암그루의 꽃은 흰색이다. 가을이 되면 잎이 무성하여 넓은 군락을 이루게 된다. 머위는 약간 쓴맛이 있으면서도 특유의 향기를 갖고 있어 향기나 효능 등에 있어서 토종 허브라고도 불린다.
3) 비타민 A의 함유량이 풍부해서 머위는 뿌리부터 잎까지 버릴 것이 없는 알찬 채소이다. 특히 줄기 부분의 머윗대는 육개장이나 나물 반찬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칼슘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뼈 건강에 좋고, 식이섬유가 많아 변비 예방에도 좋은 식재료이다.
2.머위로 맛있는 요리 만들기
머위는 뿌리채소로 다양한 요리에 사용됩니다.
1) 머위전
머위를 가루로 갈아 튀긴 음식입니다. 머위를 갈아서 만든 가루에 달걀, 밀가루, 소금 등을 섞어 반죽을 만들고, 팬에 기름을 두르고 반죽을 부어서 튀깁니다. 바싹하게 튀겨진 머위전은 매콤한 고추장과 함께 드시면 맛있습니다.
2) 머위 김치
머위와 김치를 함께 조리한 음식입니다. 머위는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김치와 함께 볶아내면 됩니다. 김치와 머위의 조화로운 맛이 일품입니다.
3) 머위랑
머위와 돼지고기, 대파, 마늘 등의 재료로 만든 국물 요리입니다. 머위는 부드러운 식감과 상큼한 맛이 특징이며, 돼지고기의 기름기와 함께 고소한 맛을 내어 매우 맛있는 요리입니다.
4) 머위나물
머위를 소금물에 담가 푹 끓인 후 찬물에 헹궈 물기를 뺀 후, 마늘, 고춧가루, 참기름 등의 양념 재료를 넣어 만든 나물입니다. 머위의 상큼한 맛과 식감을 살린 맛있는 반찬입니다.
5) 머위 초무침
머위와 무,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의 재료로 만든 초무침입니다. 머위와 무의 상큼한 맛과 고춧가루, 마늘 등의 양념 재료로 만든 매콤한 맛이 어우러져 맛있는 나물 요리입니다.
3.외국에서는 머위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
영어 한마디: Eating well and sleeping well is the best way to maintain good health.
잘 먹고 잘 자는 것이 건강유지 에는 최선이다.
1) Peta sites는 해바라기가, 국화과에 속하는 꽃 피는 식물의 속으로, 일반적으로 머위라고 한다. 그것들은 성장기에 두껍고 기는 지하 뿌리줄기와 큰 대황 같은 잎을 가진 다년생 식물이다. 종 대부분은 아시아 또는 남부 유럽이 원산지이다.
2) 머위는 한국, 중국, 일본, 유럽, 북미와 같은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던. 그것들은 강둑, 습지, 도랑과 같은 습한 환경을 선호한다.
3) 머위는 2000년 이상 발열, 폐 질환, 경련 및 통증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됐으며 현재 머위 추출물은 편두통 예방 및 알레르기 코염 치료에 사용되며 그 효과에 대한 증거가 가장 많다.
4) 일부 머위 종에는 편두통 치료에 잠재적인 이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화학 물질인 패다 신과 이 소파 타심이 포함되어 있으며 고농도의 패다 신은 머위 뿌리와 잎 모두에서 발생하며 잎에는 더 낮은 수준의 독성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머위 추출물은 편두통의 빈도와 중증도를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5) 또한, 한 연구에 따르면 머위 추출물은 항히스타민 제 세티 레진의 진정 효과 없이 하루에 네 번 복용하면 꽃가루 알레르기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나타났다.
4.머위의 성분은?
1) 머위 잎에는 비타민 A가, 줄기에는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신체 저항력을 높이고, 뼈를 건강하게 하여 골다공증을 예방한다. 또한 섬유질이 많아 다이어트에 좋고 변비를 예방할 수 있다. 마른기침이나 가래의 제거에 머위즙을 마시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의학에서는 지혈 용도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우수 식재료 디렉터리)
주요 성분은 니아신, 나트륨, 단백질, 당질, 레틴올, 베타카로틴,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등을 함유한 종합 영양제와 같은 산채이다.
2) 머위의 독성
머위 추출물에는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라는 유해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하며 독성 알칼로이드의 농도는 종종 뿌리줄기에서 가장 높고 잎에서 가장 낮으며 식물이 자라는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화학 물질은 간에 독성이 있으며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임신이나 모유 수유 중에는 머위 보충제를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Remind the people to be subject to rulers and authorities, to be obedient, to be ready to do whatever is good, (Titus 3:1)
너는 그들로 하여금 통치자들과 권세 잡은 자들에게 복종하며 순종하며 모든 선한 일 행하기를 준비하게 하며(디도서3:1)
'세상사는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산나물, 맛있는 제철 나물” (제 22 화) (1) | 2023.05.17 |
---|---|
“엉겅퀴, 맛있는 제철 나물” (제21화) (2) | 2023.05.16 |
“떡쑥, 맛있는 제철 나물”(제 19 화) (4) | 2023.05.13 |
“쑥부쟁이, 맛있는 제철 나물"(제 18 화) (0) | 2023.05.12 |
“잔대, 맛있는 제철 나물"(제17화) (2)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