聖經과 英語를 동시에 쉽게 理解 할 수 있는
요한복음 英文判을 한글로 解釋, 解說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121번째 로서 12장11절부터 시작합니다.
11.for on account of him many of the Jews were going over to Jesus
and putting their faith in him.
for: 그리하여
on account of him:
그 때문에(나자로)
him: Lazarus in him: 예수님
going over to Jesus:
예수님 쪽으로 넘어감(에게로)
putting their faith in him:
그들의 믿음을 그에게 놓았다(그를 믿다.)
(그래서 나사로의 일로 인해 많은 유대인들이 예수님을 믿게 되었다)
12.The next day the great crowd that had come for the Feast
heard that Jesus was on his way to Jerusalem.
great crowd that had come for the Feast:
축제에 참석 하려는 거대한 무리의 사람들
(그 이튿날에는 명절에 온 큰 무리가 예수께서 예루살렘으로 오신
다는 것을 듣었다)
13.They took palm branches and went out to meet him,shouting,
"Hosanna!" "Blessed is h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Blessed is the King of Israel!"
Blessed is h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그분을 축복 함니다.
Blessed: 동사로서 신의 가호, 축복을 빌다, 구원 하소서
(종려나무 가지를 들고 맞이하러 나가 외치되 호산나 찬송 합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 곧 이스라엘의 왕이시여!)
Hosanna: 호산나
오, 구원해 주시옵소서’란 뜻.
구하옵나니 이제 구원 하소서(시118:25)라는 짧은 기도문.
구약에서는 초막절 때 제단 주위를 돌면서 환호성을 지르며이 소리
를 외쳤고 신약에서는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실때 길가에 섰
던 군중들이 외친 함성인데 이는 메시야의 구원을 찬양하고 감격하
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Blessed is h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하나님 이름으로 오시는 그에게 는 축복이 있으소서
"Blessed is the King of Israel!" :
이스라엘의 왕에게 축복을
해설: Palm branch(종려나무,야자수)가지
성경에서는 예수님의 도착을 축하하기 위해 야자수 가지가 길을 따라
늘어선다고 했다. 이는 하나님의 호의를 나타내는 표시로, 의로운 승리
의 상징이었다. 고대에는 야자수 가지가 선, 안녕, 웅장함, 굳건함, 승리
를 상징했으며 그것들은 동전과 중요한 건물에 자주 묘사되곤했다.
전통적으로 종려 주일에 들고 다니는 이 특별한 야자수 가지들은 예수님
이 예루살렘으로 의기양양하게 들어가는 것을 상징한다.
사람들이 야자수 가지를 들고 예수님을 만나러 나가 찬양을 외치는행위
는 예수님을 메시아로 인정하고 예수가 도착한 것을 기뻐 하는 것을 의미
한다.
14.Jesus found a young donkey and sat upon it, as it is written,
sat upon it:
위에 앉았다
as it is written:
이것에(성경에)쓰여 있는대로
(이것은 성경에 쓰인대로 예수님이 어린 나귀를 발견, 타셨다)
15."Do not be afraid, Daughter of Zion; see, your king is coming,
seated on a donkey's colt.“
donkey's colt:
새끼나귀
(이는 기록된 대로 시온의 딸아 두려워하지 말라 너의 왕이 나귀
새끼를 타고 오신다 (스가랴 9:9 실현을 위해))
해설:
이 말씀은 요한계시록 12장 15절, 스가랴 9장 9절 에서 인용한 것
으로, 초라한 왕이 예루살렘에 온다는 예언이다.
"시온의 딸"은 예루살렘의 사람들을 가리키며 당신의 왕이 온다, 당
나귀의 새끼에 앉아" 는 보통 말을 타고 전쟁을하는 모습과는 반대
로 평화로운 통치자의 모습을 의미한다.
이 행위는 예수님의 평화적인 의도와 그의 왕권을 상징한 것으로
지상의 정치적 통치자가 아니라 영적 지도자의 모습이였다. "두려워
하지말라"는 가르침은 이 왕이 인간들에게 가져다 줄평화와 구원
을 재 확인하는 것이다. (스가랴 9:9-10).
'세상사는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Gospel of John(요한복음) 123번째 (0) | 2024.05.02 |
---|---|
The Gospel of John(요한복음) 122번째 (2) | 2024.05.01 |
The Gospel of John(요한복음) 120번째 (0) | 2024.04.29 |
The Gospel of John(요한복음) 119번째 (1) | 2024.04.28 |
The Gospel of John(요한복음) 118번째 (1) | 202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