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는 지혜

Acts(사도행전),139번째

바람과비다 2025. 7. 10. 07:36
728x90
반응형

"The violence of the wicked will drag them away, for they refuse to do what

is right" 

          악인의 강포는 자기를 소멸하나니 이는 정의를 행하기를 싫어함이니라(잠21:7) 

         

                           英語聖經을 쉽게 解釋, 解說 합니다.                                  

                          시도행전 17장16절 부터 시작 합니다. 

 

16.While Paul was waiting for them in Athens, he was greatly distressed to

see that the city was full of idols.

greatly distressed:

몹시 괴로웠다.

to see that the city was full of idols:

도시가 우상으로 가득 차 있는 것을 보다

 

바울이 아테네에서 그들을 기다리는 동안 그는 그도시가 우상들로 가득 차 있는것을

보고는  몹시 괴로워했다.

 

17.So he reasoned in the synagogue with the Jews and the God-fearing

Greeks, as well as in the marketplace day by day with those who happened

to be there.

reasoned:

이성에 의거한, 사리에 맞는, 심사숙고한

those who happened to be there:

우연히 그곳에 있던 사람들

 

바울은 회당에서 유대인듣과 하나님을 경애하는 그리스인들에게 설득을 행하고

시장에 들러서는 그곳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매일같이 설득을 행하였다.

 

18.A group of Epicurean and Stoic philosophers began to dispute with him.

Some of them asked, "What is this  babbler trying to say?" Others remarked,

"He seems to be advocating foreign gods." They said this because Paul was

preaching the good news about Jesus and the resurrection.

dispute with him:

그와 논쟁을 벌이다.

babbler trying to say:

수다쟁이

advocating foreign gods:

외국신을 선전 하는것같다.

Others remarked:

다른 사람들은 말하길

 

에피쿠로스 학파와 스토아 학파의 철학자들도 바울과 논쟁하자 어떤사람은 '이 떠

이가 무슨 말을 하려는가?' 하였고 또 어떤 사람은 그는 외국 신들을 선전하는

것 같.' 고도하였다. 그들이 이렇게 말 한 것은 바울이 예수님과 그의 부활에 대

한 기쁜소식을 전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해설: 당시의 사회상은 ?

에피크로스 학파는 쾌락을 최고의 선으로 여기는 철학자들이며, 스토아 학파는 이성과 자연

에 따라 사는 삶을 강조하며, 운명과 신의 섭리를 중시했다.

이 두 철학파는 서로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지만, 바울의 가르침에는  공통적으로 의문을

품었으며 함께 했음을 보여주고있다.

어떤 이들은 바울을 "이 말쟁이가 무슨 말을 하려는 거지?"라고 조롱한 것은 여기서 babbler

'길거리에서 주워 들은 말만 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지식이 깊지 않은 사람을 비하하는 표현이어었다..

또한 다른 이들은 "그는 외국 신들을 전하는 것 같아"라고 말한것은 당시 아테네 사람들은 다양

한 신들을 섬겼지만, 새로운 신에 대해서는 경계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바울이 말하는예수와 부활은 그들에게는 낯선 개념이었고, 두 신으로 오해되기도 했다 (예수=

한 신,부활=또 다른 신).그들이 이렇게 말한 이유는 바울이 예수와 부활에 대한 복음을 전하고 있었기 때문

이었다. 복음 (good news)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인류에게 구원이 주어졌다

기쁜 소식이다. 그러나 철학자들에게는 이 개념이 생소하고, 기존의 철학 체계와 충돌했기

때문에 논쟁이 일어난 것이었으며 이 장면은 복음이 전통적인 철학이나 종교 체계와 충돌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였다. 

 

Tip: 무리(group)의 다른 형태들은??

 

1)사람의무리: group, crowd, party, bunch, throng.

Group:

Ex: The study group decided to meet twice a week to  discuss the course

       material.

       스터디 그룹은 일주일에 두 번 만나 수업 자료에 대해 논의하기로 결정했다.

 

Crowd:

Ex: The crowd at the concert was so energetic, you could feel the excitement

       in the air.

       콘서트의 군중들이 너무 활기차서, 사람들은 공중에 뜬 기분이였다.

 

Party:

Ex: After the conference, there was a party at the hotel for all the attendees.

      회의가 끝난후, 호텔에서 모든참석자를 위한 파티가 열렸다.

 

Bunch:

Ex: She received a beautiful bunch of roses on her birthday.

      그녀는 생일에 아름다운 장미 꽃다발을 받았다.

 

Throng:

Ex: The throng of shoppers rushed into the store as soon as the doors

       opened for the Black Friday sale.

       블랙 프라이데이 세일을 위해 문이 열리자마자 쇼핑객들이 상점으로 몰려

       들었다.

 

2)동물의무리:

같은 종류의 동물은: Herd

,염소,새의 무리: flock.

,늑대 무리: pack

물고기의 무리: shoal, school(학교라는 뜻만이아님)

곤충의 무리: swarm.

사자의 무리: pride.

 

19.Then they took him and brought him to a meeting of the  Areopagus,

where they said to him, "May we know what  this new teaching is that you

are presenting?

 

그들은 바울을 아레오바고의 만남장에 데리고 가서 이렇게 물었다.당신이 가르

치고 있는새 교훈은 무엇이오?

 

20.You are bringing some strange ideas to our ears, and we want to know

what they  mean.“

 

당신이 이상한 것을 우리에게 전해 주고 있으니 우리는 그것이 무슨뜻인지 알고

싶소.

 

                             유용한 표현 관용어 2개문항

 

의견이 일치하다: See eye to eye. 

Ex: We don’t always see eye to eye, but we respect each other.

        우리는 항상 의견이 일치하진 않지만, 서로를 존중한다

 

스스로애게 자초한 실수: Shoot yourself in the foot.

Ex: He really shot himself in the foot by quitting his job before finding a new

      one.

      그는 새 직장을 구하기 전에 일을 그만두는 바람에 스스로 발등을 찍은 셈 이다.

 

                                                                                        Rose, rose